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관련주73

반도체 ALD 소재 - 많이 사용되는 소재 리스트 국내에 ALD 소재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들은 적지 않다. 디엔에프, 솔브레인 SK머티리얼즈, 한솔케미칼, 오션브릿지, 메카로 등.. 이 중에서 어떤 기업이 가장 매력이 있을지 판단하고 선택하는 것에는 개인의 취향이 들어가겠지만, 어쨌든 실적이 가장 늘어나는 기업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은 변함이 없을 것 같다. 좋은 실적을 내주는 기업의 공통점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1) 남들이 만들지 못하는 소재를 만드는 기업 2) 반도체 공정이 미세화됨에따라 그 가치가 더 부각될 소재를 만드는 기업 3) 신규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여 향후 먹거리를 잘 준비하는 회사 (안주하지 않는 회사) 4) 국산화에 성공하여 M/S를 뺏어올 수 있는 기업 이 네가지 정도는 꼭 고려해야 할 것 같다. 그리고 단순히 그 회사의 업력과 .. 2021. 2. 7.
송원산업 - 시간이 없어서 투자하지 못했던 회사, 간단 리뷰 작년 내내 금호석유/롯데케미칼/LG화학 등 전통 씨클리컬 화학 산업의 업황이 매우매우 좋았다. 하지만 워낙 주가의 움직임이 빨라서 쌀 때 진입하여 홀딩했던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신규 진입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그래서 그 대안을 찾다가 발견한 것이 유니드와 송원산업 이었는데, 유니드는 그냥 싼 업체 정도로 보였고 송원산업이 좀 더 드라마틱한 실적 변화가 있어보였다. 송원산업은 첨가제 업체로써, 주로 ECC/NCC 업체들의 증설에 수혜를 받는 기업이다. 어떻게 보면 반도체 소재주와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전방 업체들이 증설 계획을 가지고 착공에 들어가면 어쨌든 몇년이 지나면 완공이 되어서 돌아갈 것이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매우 적고 실적 예측이 매우 쉽다. 위 그래프는 아시아 에틸렌 Capa 증설 추정치.. 2021. 2. 6.
자이에스앤디 - 유상증자로 단기 충격은 있겠으나, 장기적으로는 적절한 투자 믿고보는 삼성증권 리포트! 유상증자의 목적은 2가지다. 1) 2021년 부지 매입을 위한 자금 2) GS건설 지분율을 50% 미만으로 낮추기 위한 작업 2번의 경우 증권신고서에도 언급된 내용인데, 이번 유증 발행가액에서 GS건설 지분 300억을 넣어서 계산해보면 GS건설 지분율이 49.1%가 나오는 것 같다. 아직 부동산 싸이클의 초입이다. 유상증자 참여를 통해 15% 할인된 가격으로 추가매수나 해야겠다. 아쉽게도 수익률은 최대 100%에 육박했다가 50% 미만으로 폭락했다.ㅎㅎ 그러나 단순 사업이 너무 힘들어서 운영자금으로 유증을 하는게 아니고, 더 큰 성장을 위한 유증이라는 점이 다르다는 걸 꼭 감안해야 할 것 가탇. 그리고, 작년 말부터 집중투자에서 분산투자로 선회한 보람이 있는것 같다. 이런 우발.. 2021. 2. 5.
자이에스앤디 - 정부의 2.4 부동산 대책 최대 수혜주 (유상증자는 아쉽지만) 자이에스앤디가 금일 깜짝 1,200억 유상증자 공시를 냈다. 부동산 디밸로퍼를 지향하지만 현금이 500억원 밖에 없다는 점이 걸리긴 했는데, 역시 GS.. 유상증자 방식으로 자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런게 마음에 안들었으면 시총만큼 현금 가지고 있는 HDC현대산업개발을 샀어야 했다. 그러나 시총 작은 기업이 사업을 넓혀가며 성장하는 과정을 주주로써 함께하는 것이 가장 재밌고 좋은 수익을 올릴 수 있기에.. 당연한 선택이었다. (이 속도면 언젠가 시총 1조는 가겠지~ 하는 마음) 유증 관련해서는 증권신고서에 자세히 나와있다. 2018년에 주택 사업을 시작했는데, 부동산 디밸로퍼로써.. 단순 시공이 아닌 주택 개발사업을 하기위해서는 직접 부지를 매입하고 주택을 지어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부지.. 2021. 2. 4.
와이아이케이 - 삼성향 장비 670억 수주 (매출액 100% 상회하여 거래정지) 금일 와이아이케이는 매출액의 100%를 넘어서는 수주를 하여 거래가 정지되었다. 올해 삼성 낸드향 투자에 집중하고 있었고, 주담님들과 소통을 통해 조만간 큰 건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삼성 낸드향 투자자들은 대부분 알고 있었을듯..) 그래서 삼성향 낸드에 노출도가 높은 와이아이케이, 마이크로프랜드를 포트의 30% 비중으로 매수해 두었고, 이제 조금씩 가시화가 되어가는 것 같다. 물론 주가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 물론 나야 잘 가주면 좋지만.. 현재 와이아이케이 밸류가 완전 싼건 아니지만 20년 중순부터 혼자 몇달간 쉬기도 했고, 2021년 기준 FWD PER 10 초반이다. 2022년도 열려있는 상황에서.. FWD PER이 10 후반은 가야 되지 않나 생각.. 장비주는 계약 체결공시를 .. 2021. 2. 4.
월별 주택 거래량에서 얻는 투자 아이디어 - 지금이 건자재 기업 투자 적기 주택 거래량은 2015년경 피크를 찍은 후 5년간 우햐향. 잘 안보이니 YoY 데이터를 확인해보자. 워낙 데이터가 지저분해서 이래도 잘 안보이지만 2015년 3분기경까지 YoY 플러스를 유지하다가 2016년 부터 마이너스로 내려간 후 우하향. 최근 2020년에 보이는 엄청난 YoY 플러스 국면이 눈에 띔. 주택 거래량이 늘어나면 (보통 가격 상승 동반), 자연스럽게 분양 물량도 늘어나고 분양 후 2년정도 부터 입주물량이 늘어남. 한샘 주가는 분양물량 증가 국면에서부터 주가가 상승하기 시작하여 월별 거래량이 YoY로 Peak-out 할 때 즈음부터 하락으로 턴 했음. (다른 건자재 기업도 마찬가지) 실적도 2013~2015년에는 매출 YoY 성장률 30%대를 유지하다가 2016년부터 크게 꺾이기 시작. 실.. 2021. 2. 3.
동진쎄미켐 - 이번 조정장에서는 매수를 고려해봐야 한다 금번 삼성/하닉의 컨콜을 통해 SK하이닉스의 보수적 투자 기조의 확인과 삼성전자의 전략적 투자 기조가 확인이 되었다. 올해는 삼성전자 밸류체인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다. 특히, NAND의 증설이 기대된다. 경쟁사들이 여러 이유로 주춤하고 있는 사이 삼성전자가 6세대, 7세대 V낸드 생산을 급격하게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블로그에 많이 업로드 하였지만, 와이아이케이라는 NAND/DRAM Wafer Tester 업체(국내 유일)는 이미 매수한 상태이며, 최근 동진쎄미켐의 주가도 매력적인 수준으로 점점 내려오고 있어서 눈도장을 찍어두고자 한다. 가장 중요한 투자아이디어는 삼성전자의 시안2기 및 평택2기 증설이다. 19~20년에 시행한 시안2기 1차 투자를 통해서는 96단 수준인 5세대 V낸드를 양산 시작하.. 2021. 2. 1.
자이에스앤디 - 2021년 부터는 주유소 부지 개발도 시작된다 (20.4Q 실적 리뷰) 자이에스앤디 20년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회했지만, 다소 아쉽다는 의견이 많은 상황이다. 삼성증권 리포트를 참고하여 4분기 실적 리뷰를 해보자. GS건설의 착공 물량이 2년 전에 많이 있었기에 2020년 자이에스앤디의 Home Improvement 실적도 좋았음. 분기별로 보면 20.4Q > 20.2Q > 20.3Q > 20.1Q 순으로 매출액이 많이 잡혔는데, 덕분에 이번 4분기에 Hom improvement 영업이익이 100억원에 가까음. GS건설을 포함하여 국내 건설업체의 주택 분양이 2018년 이후로 점차 증가하여, 2021~2023년 까지는 계속적으로 Home Improvement 부문의 매출이 성장 또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0년 4분기에 신규 착공 1건이 있었으나, 원가율이 추가로 .. 2021. 1. 30.
이노인스트루먼트 - 주담 통화내용 (21.01.26), 지속적으로 관심 필요 1. 2016년의 경우 중국의 4G 투자 수혜와 높은 M/S 덕분에 광섬유 융착접속기 매출이 많이 나왔다고 알고 있다. 5G 투자 시에도 4G 투자 시기와 동일하게 M/S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보시는지? - 큰 차이 없을 거라고 보고 있다. - 동사의 경우 중국에 생산법인이 있다. - 2016년의 경우 중국이 4G와 FTTH 투자를 동시에 진행하여 동사에 수혜가 컸던 것이다. 2. 국내의 경우에도 M/S 1위인가? - 일단 국내의 경우 인프라 투자 규모 자체가 크지 않다. 일본과 양분하고 있다. (50 대 50 정도로 보시는듯) - 전세계 적으로 보면 우리 제품 M/S가 3~4위 정도라고 보면 된다. (점유율 6% 수준) - 동사는 주로 중국의 5G 투자가 중요하다. 3. 2019년 말에 출시한 계측기 .. 2021. 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