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게시글363

지어소프트 - 21년은 20년 대비 순이익 2배 성장 1)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 장보기가 생활화 된 사람들이 많아짐 2) 저렴한 가격 때문에 충성고객도가 많아졌고, 그 결과 90%대의 재구매율을 달성함 3) 신석식품 폐기율 0.1%에 달하는 효율적인 운영중 (오프라인 매장에서 떨이 세일 활용) 4) 업계 유일의 흑자기업. (마켓컬리는 20년 기준 수천억원의 적자 예상) 5) 하반기에 제2 물류창고 가동 예정 => CAPA 50% 증가 코로나 덕분에 마진이 좋은 온라인 매출이 큰폭으로 성장하였고, 이때 유입된 사람들이 계속적으로 소비를 하고 있는 상황. 올해 하반기에는 오아시스마켓도 마케팅에 일부 힘을 실을 예정이므로, 내년에는 더욱 큰 성장이 예상됨. 오아시스마켓은 여타 업체대비 가격이 저렴하고, 심지어 최저가 수준으로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재구매율이 높음.. 2020. 11. 11.
2020년을 마치기 전에 꼭 분석해봐야 할 회사들 1) 지어소프트 - 오아시스마켓은 이커머스 중 유일하게 흑자인 회사다. 매출액이 매년 50% 수준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영업이익도 분기에 20억이 넘는다. 시총 1500억이 오면 기회다. 향후 5000억까지 갈 수 있다고 본다. 2) 네오팜 - 영업이익률 높은 화장품 업체. 제로이드의 높은 성장과 신성장동력 더마는 기대해볼만 하다. 3) 에이치시티 - 5G 등 통신기기 인증업체. 무선이어폰, 전장용 제품 등 인증이 필요한 제품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이런 것들의 성장성을 숫자로 제대로 파악할수만 있다면 밸류에이션 계산이 가능해진다. 4) 세화피앤씨 - 모레모 트리트먼트로 유명한 헤어케어 전문 업체다. 최근 기를 모아서 탈모샴푸를 출시했다. 친구에게 사줘보니 일단 며리결은 좋아진단다. (?) 세화피앤씨는 분.. 2020. 11. 10.
워렌버핏, 3분기에 애플 주식 4.6조원 규모 매도 워런 버핏, 3분기 애플 주식 40억 달러어치 매도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투자 귀재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가 지난 3분기 중 애플 주식 40억 달러(약 4조4616억 원)어치를 매도했다고 9일(현지시각) 배런스가 m.newspim.com 워렌버핏이 애플 주식을 4.6조원 정도 매도했다고 합니다. 물론 버크셔는 애플을 100조원 이상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비중은 그리 크지 않으나, 현재 애플이 상당부분 고평가 되었다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3분기에 워렌버핏은 애플 뿐만 아니라 금융주도 순매도 했다고 하는 것 또한 주목해야 할 것 같습니다. 현재 애플의 시가총액은 현재 2,000조원이 넘습니다. PER은 35이구요. 현재 이게 싼걸까요 비싼걸까요.. 2020. 11. 10.
솔브레인 - 20.3Q 실적발표! 잘나온거 맞을까? 솔브레인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솔브레인 단독으로 인적분할되고는 처음 실적을 발표하는 것이다보니, 전년도 및 1~2분기 실적이 없습니다. 매출액: 2,300억 영업이익: 542억 (이익률: 23.5%) 순이익: 380억 (이익률: 16.5%) 솔브레인의 시가총액 1조8천억을 3분기 순이익의 4배로 나누면 PER이 11.8이 나옵니다. 10초반의 PER이므로.. 전분기의 실적을 보지않아도 이정도면 나쁘지 않다! 정도로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이제 좀 더 신빙성의 확보하기 위해 대신증권 리포트의 실적 추정치를 활용해보겠습니다. 매출액: 2,028억 영업이익: 479억 (이익률: 23.6%) 순이익: 385억 (이익률: 18.9%) 매출액: 2,073억 영업이익: 510억 (이익률: 24.6%) 순이익:.. 2020. 11. 10.
테이팩스 - 20년 3분기 영업이익 50억 어닝 서프라이즈! 한솔케미칼의 자회사 테이팩스의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매출액은 318억, 영업이익은 49.6억으로 전년(매출액 302억, 영업이익 22.6억) 대비 어닝서프라이즈를 시현하였습니다 매출액은 16억 늘어난 반면, 영업이익은 27억이 늘어났는데, 어떻게 이게 가능했을까요? 1) 테이프 공장을 매각하고 OEM 방식으로 변경함으로써 저마진 제품을 제거함 2) 원재료 가격이 하락함 3) 중국 스마트폰의 OLED 점유율 상승으로 인한 2차경화 OCA 매출액 증가함 4) 전기차 배터리 판매량 증가로 인해 2차전지용 테이프 매출액이 증가함 (LG화학의 테슬라 배터리 공급 수혜) 5) 코로나 때문에 배달업계 매출액이 늘었는데, 테이팩스는 배달용 포장랩 1위 유니랩을 보유하고 있음 사업별 매출액을 보면, 올해 3분기 누적 .. 2020. 11. 10.
삼성의 QD-OLED가 LG의 W-OLED 대비 우수한 이유 (최고 수혜주는?) OLED의 작동 원리를 간단하게 말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발광소자에 전류를 흘려준다 2) 그 전기 에너지가 빛으로 변하여 발광한다 이러한 OLED는 발광 형태에 따라 크게 전면 발광, 배면 발광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가 생산하는 W-OLED가 대표적인 후면발광 OLED고, 삼성디스플레이가 생산 예정인 QD-OLED가 대표적인 전면발광 OLED입니다. 뭐가 더 좋은 방법일까요? 딱봐도 전면발광이겠지만, 하나하나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OLED 배면 발광구조는 그림과 같이 빛이 발생하면 일부는 바로 양극(Anode)쪽 나가고, 일부는 음극에서 반사되어 다시 나갑니다. 기술적으로 양극(Anode)는 투명전극 기술/소재가 잘 개발되어 있지만, 음극(Cathode)는 그렇지 못한 상.. 2020. 11. 10.
中 배터리 소재 업체, 한국에서 하이니켈 양극재 생산 (2,000억 투자) 中 배터리 소재 업체, 한국 하이니켈 양극재 대규모 투자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배터리 소재 업체 론바이 테크놀로지(Ronbai Technology)가 한국에 하이니켈 양극재 공장을 구축한다. 연간 2만t의 생산량을 갖추며 고객사인 국내 배터리 3사의 양극재 수 www.theguru.co.kr 중국 배터리 소재업체 론바이 테크놀로지가 한국에 하이니켈 양극재 공장을 구축한다. 규모는 2년간 2,000억원 수준이다. 국내에서 양극재 좀 한다는 업체인 에코프로비엠의 연간 Capex 규모는 아래와 같다. 2017년 - 500억 2018년 - 700억 2019년 - 1,800억 2020년 - 1,100억 에코프로비엠 이외에도, 엘앤에프, 코스모신소재, 포스코케미칼, LG화학 등 양극재 업체들이 꽤나 많다. .. 2020. 11. 10.
자이에스앤디 - 중소형 아파트 단지에 '자이'라는 이름이 붙는다면? 이번 정부의 특성상 민간 정비사업의 규제가 매우 강하다. 이에 대한 불만이 많은 상황이다보니 소규모 재건축, 가로주택 정비 사업에 대한 규제는 오히려 완화 해주는 결과가 나오게 된다. (2020.5.6) 만약 내가 소규모 재개발 단지 조합원이라면.. 어떤 건설사를 선택할 것인가? 당연히 자이/힐스테이트/레미안 등 브랜드 건설사를 선택할 것이다. 자연스럽게 미분양 가능성이 낮아지게 되고, 유지보수 등 여러 편의성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GS건설은 이러한 수요를 빠르게 파악하여 중소형 건설사 전문 업체인 '자이에스앤디'라는 자회사를 설립하였고, 수주잔고가 가파르게 늘어나며 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최근 자이에스앤디의 리포트가 많이 나오고 있다. 1. 500세대 이하 단지 주택 시장의 특성상 상위 주택 브랜.. 2020. 11. 9.
동성화인텍 - 극도의 저평가 상태, 21년 Fwd PER 6 투자 포인트 1. LNG선 운임가격은 125,000달러/일로 6개월 사이에 2배 이상 상승하여 LNG선 투자 회수기간이 5.7년으로 급격히 하락 2. 역사적으로 LNG선 투자 회수기간이 10년 아래로 오션 선주들의 발주는 집중적으로 늘어났음 3. LNG시장의 공급부족이 심해지고 있는 가운데 140K급 모스 LNG선의 퇴출은 계속되고 있음 (환경규제를 만족하지 못하여) 4. 최근 경쟁사인 한국카본의 수주 잔고는 줄어들고 있는 반면, 동성 화인텍의 수주잔고는 우상향 하고 있다는 점이 매우 긍정적임. 결론 - 현재 전방시장이 동성화인텍에게 역대급으로 우호적인 환경임 이러한 우호적인 상황임에도 동성화인텍의 FWD PER은 20년 기준 8 수준, 21년 기준 6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 시장 자체가 성장하고 있지 .. 2020. 11.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