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게시글363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CAPEX 투자 계획 상향 최근 디램 가격 상승이 심상치 않다. 대형주들이 연말연초에 너무 급하게 올라왔긴 하지만 조금씩 다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연초에 매수한 중소형 반도체 장비주는 유지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FWD PER 10초반, SK하이닉스는 FWD PER 10 수준으로 내려오면 매수하려고 대기중이다. 서버용 DDR5 시장도 드디어 개화하는 것 같다. 디아이 주가가 시장을 이기고 있는 이유가 이것 때문인 것 같다. 작년 말에 샀다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많이 남아있어서 결국 매도했는데 사실 지금도 잘 모르는 부분이 많다. 그래도 DDR5 최대 수혜주 중 하나인 것은 확실하다. 작년말에 삼성전자의 2021년 메모리 반도체 Capex 계획은 20조원 수준이었으나, 최근에는 30조원 까지 50%나 올라왔다. 반면 .. 2021. 3. 8. SK머티리얼즈 - NF3 가격 상승 조짐이 보인다 (영업이익률 증가 가능성) 대형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은 2018년 수요 감소, 생산 증가에 따른 메모리 가격 급락을 경험한 뒤 2019년 부터는 굉장히 보수적인 투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매출액, 이익 레벨 자체가 과거보다 상승했기 때문에 기저 자체는 높아지긴 했으나, 설비투자의 YoY 증가가 좀처럼 나오지 못하고 있었다. 심지어 2020년은 코로나까지 겹쳐서 자의든 타의든 반도체 업체들의 보수적인 기조가 유지되었고, 2019~2020년에 크게 줄였던 투자가 2021년에 공급부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작년에 이어 계속 수요가 좋은 PC 디램, 그리고 서버 업체들의 재고 소진으로 인한 서버 디램 가격 반등세가 이어지고 있다. 가격 상승시점에서는 대형 반도체 업체들도 증설에 어느정도 속도를 붙일 수 있을 것 같다. 반도체.. 2021. 3. 6. 아나패스 - 2020년 실적 발표, 매출액은 크게 늘었으나 적자 지속 (+ 엘비세미콘) 아나패스의 실적이 발표되었다. 매출액은 전년비 66%나 늘었지만 4분기에 또 한번 예상치 못한 원가가 반영되어 또 한번 투자자들을 실망시켰다. 4분기만 자그마치 100억 적자고, 심지어 매출액도 YoY로 감소한 176억이다. 불과 2주 전에 키움증권에서 발행한 리포트에서 120억 적자를 예상했는데, 실제로는 220억이 나왔다. 애널리스트분이 리포트 쓰기 전 회사와 소통을 했을텐데.. 그때도 저렇게 가이던스를 줬따는게 이해가 안간다. 나의 경우 금주 초에 리밸런싱 차원에서 엘비세미콘으로 갈아탔다. 아나패스 상황이 나빠져서 그런거라기 보다는, 동일 섹터 내에서 더 매력적인 종목이 보였기 때문이다. 예전부터 엘비세미콘을 좋게보고 조정 및 매수시점을 보고 있었는데, 최근 FWD PER 10 초반까지 내려왔었다... 2021. 3. 6. 원풍 - 2020년 실적 발표, 영업이익 YoY +88% (+ 알로이스) 원풍 - 숨겨진 배당 성장주를 원하신다면 (+ 저평가 자산주) 원풍은 이름이 잘 알려진 기업은 아니다. 그러나 조용히 그리고 꾸준히 이익을 잘 내주고 있는 기업이다. 재무제표를 보면 알겠지만, 매출액은 정체중이며 영업이익은 원재료 가격에 따라 오락 investment-insight.tistory.com 작년 말쯤 올해 금리상승기를 대비해서 저평가 자산주 중 실적이 잘나올 곳을 찾아봤었다. 그 중 하나가 원풍인데, 오늘 실적이 발표되어 기록해본다. 매출액은 1% 밖에 안늘었는데, 영업이익은 88%가 늘었다. 원풍은 위 사진과 같은 제품들(현수막, 방수 원단, 지붕재 등)을 만드는데, 원재료가 주로 원유 가격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원유 가격이 떨어지면 영업이익률이 증가하는 구조다. WTI 시세와 원풍 영업이.. 2021. 3. 5. 신흥에스이씨 - 조금씩 관심을 가져도 될 때 FWD PER 11배라고 하기에는 무리인 것 같다. 전환사채가 총발행주식수의 10% 이상 남아있고, 발행을 안하더라도 주가가 오르면 오를수록 평가손실로 잡히기 때문이다. 이를 감안하면 FWD PER 13~14배 수준이라고 봐야 할 듯.. 부품주는 고부가 가치라고 보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많아서 PER 리레이팅이 발생할 이벤트가 많지는 않아보이나, 성장산업이면서 고객사내 MS도 높다보니 비싸다고 보긴 어려울 것 같다. 그래도 투자를 하려고 보면 싸게사는게 관건인데.. FWD 13~14배 보다는 더 싸게.. 아니면 기간조정을 거치고 사는게 맞지 않나 하는 개인적인 생각이 든다. 그래도 긍정적인 리폿이 떴으니, 단기적으로는 반응할 가능성은 있어보인다. 헝가리 공장 증설로 인해 2021년 실적이 1분기부터 계단식.. 2021. 3. 4. 삼성전자, DRAM 투자 일정 앞당기고 NAND 투자 늘리고 삼성, 'D램·낸드·파운드리' 전방위 반도체 투자 속도삼성전자가 반도체 투자 속도전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최근 세계 반도체 시장이 공급 부족 및 슈퍼사이클에 진입하면서 투자 확대와 설비 구축 시기를 앞당겼다. 특히 주력인 D램뿐만 아니라 파n.news.naver.comDRAM은 증설 일정을 앞당기고 있다. 덕분에 소재업체들의 실적 증가도 좀 더 빨라질 수 있다. DRAM 가격도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어서 적절한 투자로 보인다.올해 낸드 투자는 기존에 평택 20K, 시안 30K로 예상치가 톤다운 되었다가 다시 시안이 60K로 올라오고 있는 것 같다. 올해 낸드쪽도 장비/부품/소재 모두 실적의 큰폭 성장이 기대된다. 2022년 투자도 올해 대비 크게 줄어들지 않으면서 7세대 낸드이기 때문에 2019년과 같은 .. 2021. 3. 4. 삼성전자 2021년 반도체 인프라투자 역대 최대 전망 2021년 투자 전망치에서 눈의 띄는 부분은 NAND, Logic, 인프라투자다. 삼성전자는 2019년에도 인프라투자를 줄이지 않았고, 오히려 늘렸었다. 수요 변동에 따라 장비투자를 탄력적으로 하기위해서였다. 인프라 관련해서는 씨앤지하이테크 등이 있다. 매출액 추이를 보면 삼성전자의 인프라 투자액과 굉장히 유사하게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최근 주가가 급등하여 추가적인 PER 리레이팅을 받기는 힘들어 보이기 때문에, 신규 사업의 가시화가 필요해 보인다. 2021. 3. 4. 엘비세미콘 - 자회사 엘비루셈 코스닥 상장 추진 주식 시장 분위기가 좋으니 많은 업체들이 자회사 IPO를 추진하고 있다. 요즘 같은 분위기에서는 수요 예측에서도 웬만하면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자금확보도 하고 지분 가치 뻥튀기도 가능해서 안할 이유가 없어보인다. [시그널] ‘범 LG’ 반도체 제조사 엘비루셈 코스닥 입성 추진 반도체 제조사 엘비루셈이 이르면 상반기 코스닥에 입성한다.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엘비루셈은 이날 거래소에 상장 예비 심사를 청구했다. 전체 상장 주식수는 2,460만 주, 공모 주식수 www.sedaily.com 엘비루셈의 지난해 실적은 매출 2,098억 원, 순이익 171억 원이라고 한다. PER 10~15 정도 부여하면 시가총액 1,700~2,000억원 수준이다. 3월초에 예비심사를 청구했으니, 5월.. 2021. 3. 3. 퀀타매트릭스 - 주담 통화 내용 (2021.02), 향후 1~2년은 압도적인 제품 경쟁력 유지 1) 대형 병원의 경우 이미 쓰던 제품을 쓰려고 할 것 같은데, 현재 병원이 퀀타매트릭스나 Accelerate Diagnostics 제품 등으로 바꿀려는 움직임이 있는지? - 메리트 있기 때문에 사용할 거라고 봄. 패혈증은 시간이 생명이며, 항생제 오용이 많은 영역인데 우리 제품은 시간도 빠르고 항생제 오용도 줄일 수 있기 때문임. 2) 그럼 병원등에서 컨택이 오는건지 아니면 영업을 가야 하는 것인지?- 당연히 영업 나가는 것임. 제품 보내고 평가받고. 3) 경쟁사 제품은 장비 1개로 테스트가 1개 밖에 안된다고 나와있던데, 그럼 동사 제품대비 장비 가격이 싼건지? 경쟁사 제품은 다중 테스트가 가능한 신제품 출시 전까지는 전혀 경쟁력이 없어보이는데? - 경쟁사 장비는 7천만원 정도이고, 동사는 1억 수준.. 2021. 3. 2.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4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