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게시글363 마이크로프랜드 - MEMS 소켓, Logic용 프로브카드 개발직 신규채용 (+1월 수출액) 그냥 지나칠수도 있던 부분인데, 한 분의 제보 덕분에 알게된 내용. (감사합니다!) 마이크로프랜드에서 MEMS Coaxial Socket, Logic용 Probe card 제품 개발/설계 직원을 뽑는다. 과거 채용공고를 다 찾아봤는데 소켓과 로직용 프로브카드 관련된 직원을 뽑는건 처음인 것 같다. MEMS 소켓은 신입 또는 경력 1년이상, 로직용 프로브카드는 경력 2년 이상이다. 소켓 보다는 로직용 프로브카드가 먼저 상업화 되지 않을지.. 반도체 관련 회사들은 반도체 업황과 직원수가 비슷하게 움직이는 것 같다. 2018 ~ 2019 직원수 감소2020 직원수 유지2021 직원수 증가 (최근 채용 규모 꽤 될듯) 여러가지로 긍정적인 흐름이다. 수출액도 지난 번 예상과 비슷하게 1월까지도 수출액 증가추세가 .. 2021. 2. 15. 이노인스트루먼트 - 판관비 절감으로 인한 3년 만의 흑자전환 이노인스트루먼트 실적이 발표되었다. 매출액은 2% 정도 줄어들었지만, 영업이익은 37억원, 순이익은 58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국내 법인 직원수는 18년부터 꾸준히 축소시켜서 거의 최소인원만 남긴 것 같고, 해외 법인도 마찬가지다. 뉴스에 나온것 처럼 정말 와신상담이다. 2020년 기준 매출액은 427억원 수준인데, 6년 내에 최저치다. 판관비 절감으로 인한 실적 개선 보다는 매출액 증가로 인한 실적 개선이 되어야 투자를 하기에 마음이 편할 것 같다. 그러나 유선망 투자에 대한 백데이터는 찾기가 정말 힘들다. 애널리스트 분들의 실적 예측도 계속 틀리는거 보면 인프라 투자의 규모를 예측하기는 정말 어렵나보다. 사용 환경이 안좋아서 장비 수명이 그리 길진 않기 때문에 중국/미국 등에서 유선망 투자를 .. 2021. 2. 15. 연휴기간에 살펴본 스몰캡 기업 3개 간략 리뷰 (에코캡, 한창산업, 에이치케이) 연휴기간에는 스몰캡 기업을 살펴볼 예정 1) 자동차 관련 기업 2) 미래지향적 2차전지 소재 기업 3) 레이저 커팅 관련 기업 시간을 좀 써도 괜찮을만한 기업 3개를 찾았다. 시가총액은 모두 300~400억 수준 소형주는 이익도 주가도 변동성 investment-insight.tistory.com 포트폴리오의 70% 정도가 이미 반도체 관련주로 채워져 있어서, 포트폴리오 다변화 차원에서 연휴기간에 스몰캡 기업 3개를 공부했었다. 1) 자동차 관련 기업 => 에코캡 2) 미래지향적 2차전지 소재 기업 => 한창산업 3) 레이저 커팅 관련 기업 => 에이치케이 워낙 시총이 작은 기업이라 조금이라도 공부를하고 글을 올리고 싶었다. 결과적으로는 당장 매수하고싶은 기업은 없었으며, 간단하게만 리뷰를 남겨보고자 한.. 2021. 2. 15. 비즈니스온 - 2021년은 외형 성장, 2022년은 질적 성장 비즈니스온, 넛지파트너스와 지분인수 본계약 [서울=뉴시스] 김제이 기자 = 비즈니스온커뮤니케이션이 넛지파트너즈와 사업 제휴를 포함한 지분인수에 대한 본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www.newsis.com 비스니스온이 3개월만에 또 M&A를 감행했다. 21년은 사모펀드 프랙시스가 비즈니스온을 인수한지 3년째가 되는 해이다. 19년 8월 - 프랙시스, 비즈니스온 경영권 930억에 인수 (전자세금계산서) 20년 7월 - 글로핸즈 60억원에 인수 (글로싸인 전자계약 서비스) 20년 11월 - 플랜잇파트너스 279억에 인수 (데이터분석 전문업체) 21년 2월 - 넛지파트너스 지분 80% 100억원에 인수 (전자증빙, 전표생성) 비즈니스온은 20년 하반기부터 약 450억원에 가까운 금액을 써가면서 총 3개 기업.. 2021. 2. 14. 2차전지는 화학업체의 밸류업 기회 - 대한유화, 한솔케미칼, 율촌화학, 동진쎄미켐 2차전지는 여러 화학 업체들에게 의미있는 밸류업 기회였다. 1) 2차전지 분리막용 소재 PE/PP 소재 시장에 진출한 대한유화, 2) 2차전지 분리막/음극재 바인더 및 실리콘 음극재 시장에 진출한 한솔케미칼, 3) 중대형 2차전지 파우치 시장에 진출한 율촌화학4) 2차전지 CNT 도전재 시장에 진출한 동진쎄미켐 위 기업들은 모두 20년 연초 대비 주가가 2배에서 3배 이상 상승했다. 분리막 소재, 바인더, 파우치는 대부분 일본 업체가 독과점 하고 있는 분야로써,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성장과 함께 국산화와 이루어지고 있다. 회사별 2차전지 매출액1) 대한유화: 2021년 기준 1,500억 (영업이익 약 700억)2) 한솔케미칼: 2021년 기준 400억 (영업이익 약 300억)3) 율촌화학: -4) 동진쎄.. 2021. 2. 13. 연휴기간에는 스몰캡 기업을 살펴볼 예정 1) 자동차 관련 기업 2) 미래지향적 2차전지 소재 기업 3) 레이저 커팅 관련 기업 시간을 좀 써도 괜찮을만한 기업 3개를 찾았다. 시가총액은 모두 300~400억 수준 소형주는 이익도 주가도 변동성이 매우 크지만, 평균적으로 대형주대비 압도적인 수익률을 제공한다. 지금은 거의 이익을 내지 못하고 있지만, 만약 1년 후 100억원에 육박하는 영업이익을 내줄 수 있다면? 시가총액 1,000~1,500억원도 가능하다. 메탈라이프가 딱 그 케이스 인데.. 2020년 기준 적자이지만, 2021년 기준 영업이익 예상치가 79억원이다. 작년 9~10월 정도에 메탈라이프에 관심을 가졌으나, 삼성전자가 5G 장비에서 GaN 채용율을 얼마나 늘릴지?에 대한 의문을 해결해야 했었다. 여러 리포트에서는 20년 하반기부터.. 2021. 2. 12. 와이지원 - 이제는 반도체 장비를 깎을 차례 (주문지수 YoY +9.8%) 21년 2월 공작기계 주문지수가 발표되었다. YoY로는 +9.7%이며, 3개월 연속 플러스 영역이다. 역사적으로 YoY로 플러스 국면에서는 와이지원의 하방이 견고했으며, 실적과 함께 주가가 반등해왔는데, 이번에는 주가 반등이 좀 늦어지고 있다. 왜일까? 작년의 경우 미중 무역분쟁의 장기화에 더불어 코로나까지 발발하여 금융위기 급으로 공작기계 주문이 매우 폭락했었다. 즉, YoY 값이 아닌 지수 절대값의 경우 이제서야 2010~2018년도의 저점에 도달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다행인 점은 현재 주문지수가 2016년 말 ~ 2017년 초 수준으로 올라왔다는 것이며, 그 당시 공작기계 주문지수의 반등이 주로 반도체 장비의 수요 급증으로 인해 나왔다는 것을 기억해보면, 지금과 매우 유사한 시기라는 것을 알 수 있.. 2021. 2. 10. 퀀타매트릭스 - 이제는 공부해볼만한 시기 퀀타매트릭스의 주가가 드디어 2만원 초반까지 떨어졌다. 시가총액으로는 3천억 수준이다. 2021. 2. 9. 현대리바트 - 잠시 매도.. 좀 더 확실한 데이터 확보 필요 현대리바트 실적이 발표되고 좀 냉정히 생각을 해보았는데, 공급이 YoY로 증가하는 국면인건 맞으나 2021~2022년이 좀 많이 아쉬운 상황이다. 심지어 2023~2025년까지도.. 부지 매입 계획만.. 아무래도 모멘텀이 붙으려면 시간이 좀 더 필요할 것 같다. 사실 주요 고객사의 2021~2022년 공급물량이 괜찮아서 실적이 나쁘지는 않을 건데, 매우 좋은 것도 아니고 나쁘지 않은 주식을 굳이 매수할 이유가 있을까? 싶다. 사실 한샘과 비슷하게 운좋게 20.4Q 서프라이즈가 떠서 꽁으로 좀 먹을 생각이 컸던 것 같다. 현대리바트는 이제 B2C를 본격적으로 확장하는 기업인데 매장한번 가보지 않고 매수한 건 심리적으로나 전략적으로나 큰 실수였다. 특히 한샘/현대리바트의 실적은 주택 거래량과 큰 연관이 있는.. 2021. 2. 9.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4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