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게시글363

덕산네오룩스 - 드디어 나타난 추가성장 모멘텀 정말 오랜기간 30,000원 ~ 35,000원 박스권에 있다가 드디어 뚫었다. 덕산네오룩스가 그간 박스권에 머물러있었던 이유는, 이미 높은 밸류에이션(FWD PER 20~30)과 추가 성장 모멘텀의 부재 때문이었다. BOE/삼성디스플레이를 통한 아이폰과 중국의 여러 스마트폰에 OLED 소재를 공급하고 있었지만 이미 이러한 부분이 주가에 반영되어 오랜기간 높은 PER이 유지되고 있었던 것이다. 결국 높아진 PER은 추가 성장 모멘텀이 출현하여 이익을 올려줌으로써 FWD PER을 낮춰줘야 내려올 수 있는 것인데, 추가 성장 모멘텀이 오랜기간 부재했었다. 실적은 매번 서프라이즈를 내줬음에도 주가는 움직이지 못했다. 그런데.. 불과 몇주 사이에 많은게 바뀌었다. 삼성이 OLED 노트북 비중을 공격적으로 늘리고 .. 2021. 2. 5.
자이에스앤디 - 정부의 2.4 부동산 대책 최대 수혜주 (유상증자는 아쉽지만) 자이에스앤디가 금일 깜짝 1,200억 유상증자 공시를 냈다. 부동산 디밸로퍼를 지향하지만 현금이 500억원 밖에 없다는 점이 걸리긴 했는데, 역시 GS.. 유상증자 방식으로 자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런게 마음에 안들었으면 시총만큼 현금 가지고 있는 HDC현대산업개발을 샀어야 했다. 그러나 시총 작은 기업이 사업을 넓혀가며 성장하는 과정을 주주로써 함께하는 것이 가장 재밌고 좋은 수익을 올릴 수 있기에.. 당연한 선택이었다. (이 속도면 언젠가 시총 1조는 가겠지~ 하는 마음) 유증 관련해서는 증권신고서에 자세히 나와있다. 2018년에 주택 사업을 시작했는데, 부동산 디밸로퍼로써.. 단순 시공이 아닌 주택 개발사업을 하기위해서는 직접 부지를 매입하고 주택을 지어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부지.. 2021. 2. 4.
와이아이케이 - 삼성향 장비 670억 수주 (매출액 100% 상회하여 거래정지) 금일 와이아이케이는 매출액의 100%를 넘어서는 수주를 하여 거래가 정지되었다. 올해 삼성 낸드향 투자에 집중하고 있었고, 주담님들과 소통을 통해 조만간 큰 건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삼성 낸드향 투자자들은 대부분 알고 있었을듯..) 그래서 삼성향 낸드에 노출도가 높은 와이아이케이, 마이크로프랜드를 포트의 30% 비중으로 매수해 두었고, 이제 조금씩 가시화가 되어가는 것 같다. 물론 주가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 물론 나야 잘 가주면 좋지만.. 현재 와이아이케이 밸류가 완전 싼건 아니지만 20년 중순부터 혼자 몇달간 쉬기도 했고, 2021년 기준 FWD PER 10 초반이다. 2022년도 열려있는 상황에서.. FWD PER이 10 후반은 가야 되지 않나 생각.. 장비주는 계약 체결공시를 .. 2021. 2. 4.
월별 주택 거래량에서 얻는 투자 아이디어 - 지금이 건자재 기업 투자 적기 주택 거래량은 2015년경 피크를 찍은 후 5년간 우햐향. 잘 안보이니 YoY 데이터를 확인해보자. 워낙 데이터가 지저분해서 이래도 잘 안보이지만 2015년 3분기경까지 YoY 플러스를 유지하다가 2016년 부터 마이너스로 내려간 후 우하향. 최근 2020년에 보이는 엄청난 YoY 플러스 국면이 눈에 띔. 주택 거래량이 늘어나면 (보통 가격 상승 동반), 자연스럽게 분양 물량도 늘어나고 분양 후 2년정도 부터 입주물량이 늘어남. 한샘 주가는 분양물량 증가 국면에서부터 주가가 상승하기 시작하여 월별 거래량이 YoY로 Peak-out 할 때 즈음부터 하락으로 턴 했음. (다른 건자재 기업도 마찬가지) 실적도 2013~2015년에는 매출 YoY 성장률 30%대를 유지하다가 2016년부터 크게 꺾이기 시작. 실.. 2021. 2. 3.
동진쎄미켐 - 이번 조정장에서는 매수를 고려해봐야 한다 금번 삼성/하닉의 컨콜을 통해 SK하이닉스의 보수적 투자 기조의 확인과 삼성전자의 전략적 투자 기조가 확인이 되었다. 올해는 삼성전자 밸류체인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다. 특히, NAND의 증설이 기대된다. 경쟁사들이 여러 이유로 주춤하고 있는 사이 삼성전자가 6세대, 7세대 V낸드 생산을 급격하게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블로그에 많이 업로드 하였지만, 와이아이케이라는 NAND/DRAM Wafer Tester 업체(국내 유일)는 이미 매수한 상태이며, 최근 동진쎄미켐의 주가도 매력적인 수준으로 점점 내려오고 있어서 눈도장을 찍어두고자 한다. 가장 중요한 투자아이디어는 삼성전자의 시안2기 및 평택2기 증설이다. 19~20년에 시행한 시안2기 1차 투자를 통해서는 96단 수준인 5세대 V낸드를 양산 시작하.. 2021. 2. 1.
자이에스앤디 - 2021년 부터는 주유소 부지 개발도 시작된다 (20.4Q 실적 리뷰) 자이에스앤디 20년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회했지만, 다소 아쉽다는 의견이 많은 상황이다. 삼성증권 리포트를 참고하여 4분기 실적 리뷰를 해보자. GS건설의 착공 물량이 2년 전에 많이 있었기에 2020년 자이에스앤디의 Home Improvement 실적도 좋았음. 분기별로 보면 20.4Q > 20.2Q > 20.3Q > 20.1Q 순으로 매출액이 많이 잡혔는데, 덕분에 이번 4분기에 Hom improvement 영업이익이 100억원에 가까음. GS건설을 포함하여 국내 건설업체의 주택 분양이 2018년 이후로 점차 증가하여, 2021~2023년 까지는 계속적으로 Home Improvement 부문의 매출이 성장 또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0년 4분기에 신규 착공 1건이 있었으나, 원가율이 추가로 .. 2021. 1. 30.
아나패스 - 삼성SDI 실적발표에서 가져오는 투자 아이디어 최근 주식 시장 전체적으로 조정이 굉장하다. 이럴 때 일수록 보유 기업에 대한 투자 아이디어를 점검해볼 필요가 있어보인다. 오늘은 삼성SDI 실적발표 컨콜에서 아나패스에게 유의미한 데이터가 나와서 간단히 남겨보고자 한다. 삼성SDI의 20년 4분기 실적에서 전자재료 부분을 떼어서 봐보자. 전자재료 매출액: 6,222억 전자재료 영업이익: 1,292억 전자재료 영업이익률: 20.8% 삼성SDI의 전자재료 부문에는 반도체, OLED 소재, 편광 부분 등이 해당하는데 그 중 OLED 소재가 특히 마진이 좋다. 그래서 영업이익률이 15%를 상회하는 분기는 주로 OLED 소재 매출 비중이 높아졌을 때 이다. 그런데 4분기에 이례적으로 전자재료 부문 마진이 20%를 상회 했는데... 그 이유는 아래 때문임으로 추정.. 2021. 1. 30.
와이아이케이 - 2021년, 사상 최대 매출액이 기대되는 합리적인 이유 금일 SK하이닉스의 컨콜에서 하닉 밸류체인에 부정적인 언급이 있었습니다. M16은 OPEN 되었지만 Capa를 증설하기 보다 기술 마이그레이션을 통한 원가절감을 하겠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하이닉스에 매출 비중이 높은 회사들은 올해 실적 성장이 조금 뒤쳐질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밸류체인에 집중해야 되는 이유입니다. 그 중 와이아이케이와 마이크로프랜드에 집중하고 있는데, 오늘은 와이아이케이에 대해 좀 다뤄보겠습니다. 와이아이케이 - 주담 통화내용 (21.01.27), 기대치를 높여도 될 때 1. 17년 당시 1천억원 이상 공시는 주로 삼성의 낸드 투자 때문인지? - 고객사가 낸드/디램 모두 투자를 많이했음 2. SK하이닉스로의 공급은 18년 이후로는 없는 것 같다. 올해는 있을지? - 지속적으 inv.. 2021. 1. 29.
자이에스앤디 - 20년 4분기 실적 발표, 컨센서스는 상회 했으나.. 자이에스앤디의 20년 4분기 실적이 발표되었다. 매출액: 1,215억 영업이익: 104억 순이익: 72억 전년 동기 대비해서 매출액은 50%, 영업이익은 88%, 순이익은 95% 증가했다. 컨센서스와도 비교해보자. 매출액 컨센서스: 1,136억 영업이익 컨센서스: 94억 순이익 컨센서스: 72억 전반적으로 컨센서스를 상회한 실적이다. 그러나 여기엔 함정이 있다. 대부분의 실적 예상치는 자이에스앤디의 주가가 튀어오르기 전인 2020년 11월초에 작성된 것이다. 주가가 폭등한 뒤인 2021년 1월 18일에 작성된 리포트에서 4분기 실적 추정치를 가져와 보자. 이베스트 김세련 연구원의 추정치는 매출액: 1,196억 영업이익: 116억 순이익: 89억 매출액을 빼고 모두 김세련 연구원의 추정치를 하회했다. 급등.. 2021. 1.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