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게시글363

제이앤티씨 - 악재보단 호재가 주목 받을 시간이 다가온다 1. 제이앤티씨 과거 매출 추이 제이앤티씨는 세계 최초로 3D 커버글라스를 개발하여 상용화한 업체다. 1개의 곡면을 가진 갤럭시노트4 Edge 납품을 시작으로 갤럭시S6~S8 등에 납품을 했으나, 삼성전자가 3D Curved Glass를 내재화하면서 실적이 주춤하게 된다. 납품처 확대를 모색한 제이앤티씨는 2018년부터 화웨이 Mate 20 Pro 등에 납품을 시작했고, 2019년부터 화웨이의 점유율 상승과 함께 제이앤티씨 매출액도 사상 최고를 달성하게 된다. 그러나 2020년 하반기 부터 미국의 화웨이 제재가 극심해졌고, Mate 40에 패널을 공급했던 SDC와 LGD도 초도 납품 이후에는 화웨이로의 납품이 거의 끊기게 된다. 원래는 화웨이 Pro 시리즈의 주력 벤더가 아니었던 BOE가 이때부터 공급량.. 2021. 6. 30.
제이앤티씨 - 갤럭시 워치4, 통합 OS (타이젠+안드로이드) 및 구글 지도 탑재 삼성 새 ‘갤럭시워치’, 구글지도 보고 유튜브음악도 듣는다 [경향신문] 삼성전자가 오는 8월 내놓을 신형 갤럭시워치에서는 구글 지도를 보고 유튜브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삼성전자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앱을 다운로드하면 갤럭시워치에도 호환 n.news.naver.com 타이젠 OS 때문에 갤럭시 워치를 안쓴다는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구글과 손잡고 만든 타이젠 + 안드로이드 통합 OS 탑재는 굉장한 희소식이다. 개인적으로 삼성 스마트 모니터인 M7을 잘 쓰고있긴 한데, 타이젠OS가 탑재된 것을 안사겠다는 말이 왜 나오는지는 이해가 간다. 타이젠 OS는 최적화 자체가 아직도 너무나 낮은 레벨이기 때문에 부팅 속도나 버벅임 등이 굉장히 심하다. 물론 Netflix 등에서 영상 재생을 시작하고나면 버벅임이.. 2021. 6. 30.
제이앤티씨 - 벤츠 EQS향 하이퍼스크린 글라스 독점 공급 벤츠는 브랜드 최초 순수 전기차 EQS를 올해 상반기에 공개했으며, 8월부터 유럽 미국에 판매를 개시할 예정이다. 한국은 빠르면 올해 연말, 중국은 내년 1월부터 판매가 예상된다. (중국에서 흥행할 가능성 높음) 벤츠 EQS의 특별한 점 중 하나를 꼽으라면 전면의 하이퍼스크린 커브드 OLED 디스플레이다. 디스플레이는 LG가 공급하며, 3D 커버글라스는 제이앤티씨가 단독공급한다. 기존에는 3개로 나눠져있던 디스플레이가 일체형이 되면서 굉장히 깔끔해지고 미래지향적이 되었다. 위의 하이퍼스크린은 옵션사항이나, 1억이 넘는 차를 사면서 굳이 이 옵션을 선택하지 않을 이유는 없어보인다. EQS 사진만 봤을때는 별 감흥이 없을 수 있지만, 기존 모델 사진을 보면 차이가 확 난다. 원래는 당연히 괜찮았던 기존 모델.. 2021. 6. 24.
2021~2022년 삼성 및 LG디스플레이 투자 예상 시나리오 (디일렉) '발주 언제 나오나'...삼성·LGD 투자 기다리는 장비 협력사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발주 가뭄'을 겪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비 업계가 고객사 신규 투자를 기다리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중소형 또는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투자에 나서리란 기대가 있지.. www.thelec.kr 내용을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음. - 스마트폰향(L7-2) LTPO TFT 30K 발주예상 올해 하반기 15K, 내년 15K 투자 예상 A3의 LTPS -> LTPO 전환 과정에서 증착기 가동 여분 30K 존재하여 증착기 추가 발주 없음 - IT향(L8-1-2 or A5) IT용 OLED 장비가 들어갈 가능성 높음 올해 하반기 투자 결정 및 내년 상반기 발주 예상 IT용 OLED 장비의 경우 삼.. 2021. 6. 24.
그래서 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머스트 김두용) 그래서 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의 격이 다른 글은 시간의 흐름과 함께 나의 투자구력에 덧칠을 하게 만든다. 이웃님들 덕분에 다시 머... blog.naver.com 지어소프트를 잠깐 투자했을 때 (직접 써보니 애매해서 오래 동행하지 못한..) 알게된 머스트 김두용 대표님의 에세이를 블로거 분께서 리뷰. 개인적인 생각도 정리할겸 포스팅. 나는 대체로 '그럼에도 불구하고'에 배팅을 해왔지만, 최근 시장은 '그래서'를 원하는 것 같다. '그럽에도 불구하고'의 케이스는 나뿐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회사의 진면목을 알아보기까지의 시간이 필요하다. 확실하게는 다음 분기 또는 다다음 분기에 나오는 실적이 될 수 있는데, 당연히 시간이라는 리스크가 잠재되어 있다. 최악의 경우에는 아무도 못알아 볼수도 있다. 대신 .. 2021. 6. 24.
21/06/23 투자 생각 기록 (섹터 내 종목 Pick에 대한 고민) 개인적인 성향 특성상, 투자를 할 때 밸류를 많이 보는 편이다. 그래서 어떤 섹터의 분위기가 반전될 것으로 예상되었을 때 수혜도 있으면서 가장 밸류매력도가 높은 종목을 골라서 매수해왔다. (수혜가 가장 큰종목이 아닌) 그러나 올해만 놓고 봤을 때는 밸류가 좀 찼더라도 확실한 종목 위주로 주가가 상승하는 것 같다. 컨센서스가 상향될 여지가 있어서 가능한 것 같기도 하다. 또한 최근부터는 박스권 장세라고 생각하여 오버슈팅은 기대하지 않고 일정 부분 밸류가 찼다싶으면 매도를 하고있는데, 아쉽세도 매도한 종목은 오버슈팅이 나오고 매도하지 않은 종목은 조정이 오고있다. 시장의 분위기가 연초대비 많이 변했는데, 아직까지 제대로 캐치하지 못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다. 작년과 같이 사면 오르는 시장은 끝인 것 같고, 종.. 2021. 6. 23.
엠투아이 -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나는 길 1. 스마트팩토리 산업 현황 2021년은 정부의 스마트팩토리 지원 사업이 가장 크게 증가할 예정이다. 내년에 대선도 있기 때문에, 일단 따놓은 예산도 소진해야 하니 더욱 속도를 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실제로 아직 21년 2분기가 다 끝나지도 않았는데 공고수가 역대 최대를 찍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처음에는 대부분 MES나 ERP 정도를 도입 할테지만, 실제로 공장이 의미있게 스마트팩토리화가 되기 위해서는 PLC 제어장치와 MES/ERP를 연동해야 하며, 결국 기존 장비에 스마트HMI를 연동하고 SCADA를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장비와 프로토콜, HMI, SCADA, 그리고 MES/ERP와의 연동 관련해서 지식이 있는 사람이 없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결국 어딘가에 외주를 주게될 것.. 2021. 6. 19.
스마트팩토리, 2021년은 정부 정책 최고 수혜의 해 갈수록 투자할 기업과 섹터가 줄어들고 있다. 성장이 담보된 섹터는 지속적으로 고평가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기존 보유 종목 이외에 추가 매수를 하기에는 부담이된다. 결국 저평가된 성장산업을 찾아야 하는데, 일시적 반등이 예상되는 디스플레이 장비와 스마트팩토리 정도가 보인다. 오늘은 간단하게 그래프 몇개만 남겨두고 기업분석글은 시간날 때 남겨 둘 예정이다. 스마트팩토리 지원 사업은 중소기업청에서 굉장히 강하게 밀고있는 사업 중 하나다. 2018년 연말 정도에 발표했고, 최종 목표는 2022년 3만개 기업 공장의 스마트화다. 2019년부터 공고가 많이 올라오기 시작했는데, 2020년에는 코로나가 스마트팩토리 전환을 촉진시켰고, 2021년 상반기부터 폭발적으로 공고가 올라오고 있다. (2021년 그래.. 2021. 6. 14.
디스플레이 섹터 관심 필요 - 포인트엔지니어링, 아이씨디 반도체 장비는 기저가 점점 높아지는 상황이라 하반기나 내년을 바라보고 투자하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상황. 반도체 장비주는 이제부터는 고난이도의 선별적 투자(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저평가된 실적 개선주)가 요구되며, 장비주 보다는 소재주가 다소 편안한 구간. 반도체 소재주를 깔고가는 상황에서, 그마나 디스플레이 섹터가 아직 아무도 보지 않고있으며 저평가된 편. OLED Fab 가동률이 올라가는 상황이라, 당장에는 디스플레이 소재가 가장 Top-Pick이지만 19년부터 계속 상황이 좋아있었게 때문에 전반적으로 PER이 높게 형성되어있음. M/S가 높은 디스플레이 장비 업체 또는 디스플레이를 본업으로 깔고가는 중에 반도체로 사업을 확장하는 회사가 좋아보임. 반도체로 사업을 확장중인 디스플레이 업체: - 케이엔.. 2021. 6.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