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게시글363

아이씨디 - Canon Tokki, BOE향 증착장비 수주 지난 주, Canon Tokki는 BOE향 증착장비를 수주. 증착장비는 리드타임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다른 장비 대비 먼저 발주되며, 보통 증착장비 발주 후 다른 장비들이 줄줄이 발주되는 경향이 있음. BOE향 증착장비 비딩 한 건 더 올라왔었는데 최근 다른 장비로 정정된 것을 보면 단순 오기입으로 추정. 기대했던 Visionox향 증착장비, Dry Etcher는 아직 안나왔으며, OLED Encap 공정 Ink jet 장비를 발주하여 Kateeva가 수주. 아이씨디는 Canon Tokki 증착 장비 내 물류 챔버 독점 납품 중. 증착장비 1Set에 150~200억 수준 수주 추정. (Asher 포함) BOE는 주로 OLED 증착 공정 레벨에서는 TEL, Encap 공정 레벨에서는 원익IPS의 Dry E.. 2021. 6. 7.
핸드셋 - 하반기 수요 가시성은 낮으나 기저효과는 존재 상반기에는 텍사스 한파발 셧다운으로 인한 반도체 공급부족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해 출하 물량이 줄었음. 하반기에는 공급 부족이 완화될 예정이지만, 수요 가시성이 낮음. 갤럭시 폴드 라인업이 다소 다양하지만 갤럭시 노트는 부재하며, 인도 시장도 코로나로 문제가 많음. 폴더블 힌지 업체를 제외하고는 조금 애매한 상황. 가시성이 낮을 때 가장 싸게 살 수 있으나, 저가 매수로 인한 단기 상승이 아닌 추세적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려움. 투매 나올 때 매수 후 반등시 매도하는 트레이딩 전략이 유효하겠지만, 트레이딩에 능한 투자자가 아니라면 노력 대비 아웃풋이 만족스럽지 않을 가능성도 있음. 성향에 따라 핸드셋 섹터 투자 여부가 갈릴 것으로 예상됨. 가시성이 낮을 때 싸게사는 전략 vs 가시성이 높아지면서 주가가 .. 2021. 6. 2.
OLED 증설 수혜 업체 주목 필요 삼성디스플레이, 4년 만에 중소형 OLED 증설 - L7-2라인 철거 돌입…OLED용 TFT 라인 들어설 듯[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중소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투자에 나선다. 지난 2017년 이후 약 4년 만이다.28일 업계에 따르면 삼 www.ddaily.co.kr OLED 섹터는 아직 덜 오른 섹터 중 하나다. 비슷한 뉴스가 작년부터 계속 나왔지만, 아이폰의 OLED 채용 확대만으로는 중소형 OLED 증설에 대한 확신이 생기기는 쉽지 않았다. (실제로도 그랬고) 삼성도 애플에 당한적이 한 번 있어서 더욱 보수적인 것 같다. 애플, 아이패드에 OLED 채택 확정...중소형 OLED 투자 기대 애플이 아이패드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탑재를 확정했다. 중소형 OLED 시장이.. 2021. 6. 1.
케이에스피 - 주가는 수주잔고와 동행 (조선사 수주에 1~2분기 래깅) 케이에스피는 높은 밸브 M/S를 바탕으로 조선업 호황기에 1년 사이 수주잔고가 4배 가량 늘어난 이력이 있음. 조선사들의 수주잔고는 아직 2013~2014년 수준으로 올라오지 못했지만, 케이에스피는 더 높아진 M/S와 MAN향 대형 엔진 밸브 신규 퀄 덕분에 이미 2013~2014년 수준으로 잔고가 올라온 상황. 과거 한국조선해양과 케이에스피의 수주잔고를 비교해보면 기자재 업체가 당연히 탄력성이 더 컸음. 조선사의 선박 수주가 엔진 밸브업체로 이어지기 까지는 약 1~2분기가 소요. 작년 하반기 코로나 불확성으로 인해 조선사의 수주가 활발하지 못하여 올해 상반기까지는 밸브업체도 수주잔고가 크게 오르진 못함. 그럼에도 MAN향 매출 덕분에 수주잔고는 생각보다 낮지 않은 상황이며, 2분기 또는 3분기부터 서서.. 2021. 5. 26.
21/05/25 실적 확인 후 교체매매 기록 컨택주에 속함에도 아직 안오른 섹터/종목을 찾다가 클래시스를 발견. 그 이후 해당 산업 공부를 더 해보니 올해 성장성은 클래시스 보다는 제이시스메디칼이 좋을 가능성이 높았음. 브라질 비중이 높음에도 수출 실적이 성장중인 클래시스이지만 내수가 별로일 가능성도 상존. 반면 제이시스는 수출 비중이 80% 수준으로 높아서 수출 데이터 트래킹을 통해 더욱 디테일한 실적 추정 가능. 덕분에 내수 불확실성도 크게 없어짐. 제이시스의 경우 RF장비 포텐자를 Cynosure가 계속 구매해가는 와중에 HIFU 장비도 일본에서 상당한 흥행 기록중. (일본은 제이시스가 법인을 통해 직접 영업.) 2021.05.13 실적 발표 결과, 제이시스는 서프라이즈, 클래시스는 컨센 부합 정도로 발표됨. 50:50 정도로 가지고 있다가 .. 2021. 5. 25.
포인트엔지니어링 - 본격적인 성장은 하반기 부터 (AMAT과 강하게 연동된 실적) 금주 AMAT의 1분기 실적이 발표되었다. (미국 기준으로는 21.2Q이지만 한국 기준으로 표현) 19년 1분기부터 AMAT 디스플레이 부문과 포인트엔지니어링의 매출액을 비교했을 때, 눈으로만 보아도 굉장히 비슷한 흐름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 회사들의 경우 실적을 발표하면서 다음 분기의 매출액 가이던스를 발표하는데, AMAT의 경우 디스플레이 부문 가이던스가 415 million$로, QoQ +10% 및 YoY -2% 수준이다. 이를 반영하여 다시 그래프를 그려보면 위와 같다. 만약 반도체 부문 매출액을 고려하지 않은상태로 포인트엔지니어링의 2분기 매출액을 추정해보면, 작년 상반기 (20.1Q ~20.2Q)와 비슷한 130~140억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번 2분기 부터는 반도.. 2021. 5. 23.
포인트엔지니어링 - 아노다이징 코팅 기술 최강자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는 불순물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증착 및 에칭 공정 부품의 세정 코팅이 매우 중요합니다. 주로 증착 및 에칭 공정에서 플라즈마나 부식성이 강한 소재들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국내 관련 업체로는 코미코, 아이원스, 포인트엔지니어링 등이 있으며, 코미코가 그 중 가장 큰 회사입니다. 다양한 해외법인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높은 M/S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세정 보다는 코팅에서 기술력 차이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밑에서는 코팅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코팅 기술에는 대표적으로 위 4가지 정도가 있으며, 코미코는 위 4가지를 모두 영위하긴 하지만 주로 우측 3가지가 주력입니다. 이 중에서도 코미코는 용사코팅에서 굉장히 많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PVD 코팅 기술력도 많이.. 2021. 5. 20.
삼목에스폼/금강공업 - 점점 차오르는 수주잔고 금일 삼목에스폼과 금강공업의 실적이 발표되었다. 삼목에스폼은 거의 알폼사업만 하고있고, 금강공업은 강관, 사료, 조선 등 다양한 연결회사를 보유하고 있다. 삼목에스폼의 영업이익이 적자가 나온 이유는 작년 하반기에 수주한 물량에 대한 매출이 이번에 잡혔기 때문이다. (평균 6개월 래깅 발생) 금강공업은 강관 사업쪽에서 나온 30억 흑자와, 조선(케이에스피) 사업에서 나온 6억원 흑자가 이익 성장에 큰 역할을 했다. 알폼 사업의 상반기 실적 부진은 모두가 알고있던 사항이고, 하반기를 바라보면서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은 수주잔고이다. 삼목에스폼의 주가는 수주잔고와 어느 정도 동행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작년 하반기부터 수주잔고가 꾸준히 올라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수주잔고가 쌓이면 점차 공급자 우.. 2021. 5. 17.
나무가 - 21.1Q 어닝서프라이즈가 나오긴 했으나 그 이후가 고민 핸드셋 부품 섹터 - 끝이 보이지 않는 조정 '허리띠 졸라매는' 삼성,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 직접 조립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삼성전자가 직접 조립하는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 물량을 늘린다. 부품 단가 인하가 목적이다. 카메라 investment-insight.tistory.com 지난 번 핸드셋 부품 섹터 관련 자료를 정리하면서 언급했던 종목이 나무가였다. 다른 회사와 다르게 나무가는 M/S를 뺏기는 것이 아닌 뺏어오는 입장이었고, IR담당자님과 통화를 통해 21.1Q 실적이 흑자라는 것은 미리 감지할 수 있었다. 20년 하반기부터 삼성의 플래그쉽 스마트폰 ToF 카메라 탑재는 철회되었지만, 갤S21부터 나무가의 카메라 모듈이 후면에도 장착이 되면서 기존대비 수익성이 좋아질 예정이었다. 덕분에 .. 2021.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