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인사이트

지분율에 연연하지 않는 바이오벤처들 (ex. 루닛, 메디포스트)

by ㅤJacobㅤ 2021. 11. 7.
반응형

바이오벤처의 경우, 기술적 진입장벽이 워낙 커서 적대적 M&A에 성공해도 그들이 회사를 제대로 이끌어갈 가능성이 낮다. 

 

바이오벤처는 사람이 곧 경쟁력인 곳이기 때문이다. 이곳은 시설투자 잘 해놓고 양산성만 갖추었다고 되는 곳이 아니다.

 

메디포스트 지분율 관련 더벨 기사

메디포스트 양윤선 대표는 지분율이 6% 수준이지만, 본인은 지분율에 연연하지 않을 뿐더러 연구자로 인정받기를 원한다.

 

다만 이 과정에서 좀 아쉬운 점이 생기는 것은, 얼마안되는 지분 마저도 시시때떄로 매도를 한다는 것과, 주주 가치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원상사와는 상당히 대조적이다. 주주입장에서는 회사가 잘 돌아가는것도 좋지만 주주가치에 신경을 써서 (자가주 매입 & 소각이 대표적) 주가가 올라가는 것이 베스트이기 때문이다.

 

루닛 주주 현황 (더벨)

루닛도 상황이 비슷하다. 후지필름이나 가던트 헬스 등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창업주 6인의 지분율은 지속적으로 내려가고 있다.

 

위표는 21년 2월 기준으로 작성되었는데, 그때 최대주주 6인의 지분율은 30% 정도다. 

 

이후 350억 규모의 가던트 헬스 투자 유치와 720억 규모의 Pre-IPO로 인해 현재 기준 지분율은 25% 미만으로 내려온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 최대주주들 입장에서는 기업가치의 상승이 줄어드는 지분율을 상쇄하여 재산에는 큰 변화는 없을 것이다.

 

오히려 2~3년이 지나면 지분투자에 들어온 업체들과의 협업을 통해 기업가치의 상승분이 지분율의 하락을 크게 뛰어넘는 것으로 보이긴 하는 상황이다. 

 

이는 뷰노와는 대조적인데, 뷰노는 최대주주 지분율이 35% 수준으로 지속 유지되고 있다. 다만 다른 큰 업체들과 피를 섞지 않고있고 의미있는 규모의 협업을 보이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가치 평가가 루닛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결론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바이오벤처들에서 최대주주 지분율이 낮은 케이스가 종종 보이는데, 기술적 장벽으로 인해 적대적 M&A가 크게 걱정되고있지는 않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오히려 메디포스트의 경우 자금여력이 충분한 회사가 M&A를 해서 회사가 하고자 하는 일에 좀더 힘을 실어주는건 어떨까 생각해본다. 

 

<네이버 블로그로 새글 알림 받기>        

 

 

 

 

관절염 시장 - 현재를 지배하는 파마리서치와 미래를 지배할 메디포스트

1. 콘쥬란 - 신의료기술 지정과 급여화 파마리서치의 콘쥬란은 2018년 4월 신의료기술 평가에 들어갔고, 2018년 12월 신의료기술로 지정이 되었다. 그 결과 2019년에는 비급여로 사용이 가능해졌으며

investment-insight.tistory.com

 

 

삼성 헬스케어, VUNO의 솔루션이 탑재된 X-ray 장비 본격 마케팅 시작

뷰노는 지난 6월과 9월 삼성전자로의 VUNO Med-Chest X-ray 공급계약 체결공시를 냈다. 본격적인 판매는 연동작업과 기타 판매 허가 작업 등이 완료된 이후인 올해 말 정도가 예상되었었다. 실제로 지

investment-insight.tistory.com

 

 

루닛 - 글로벌 TOP 임을 증명하는 주요 공급계약들

1. GE 헬스케어 / 필립스 / 후지필름 공급 계약 (합산 글로벌 M/S 50% 수준 확보) [thebell interview]GE헬스케어 손잡은 루닛 "AI의료 판로 마련"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

investment-insight.tistory.com

 

 

루닛/뷰노의 시가총액 차이는 비지니스 전략에서 기인

* 두 기업을 비교하는 글이기 때문에 오해를 살 수도 있다고 생각하여, 루닛과 뷰노 두 기업 모두의 주주임을 미리 밝힙니다. 1. 뷰노와 루닛의 기술력 차이? 뷰노와 루닛의 기술력 차이는 그다지

investment-insight.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