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게시글363

자이에스앤디 - 변창흠 장관 수혜주 공공참여 소규모주택정비 2천가구 `시동` 변창흠 내정자 추진사업 www.mk.co.kr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내정자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 시절부터 줄곧 추진해온 공공참여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이 성황리에 공모가 마무리됐다. 이들 사업지에선 2023년까지 주택 2000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국토부는 공공참여 가로주택정비사업 1차 공모와 자율주택정비사업 공모를 마치고 총 29곳에서 이들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종전 가로(街路)구역을 유지하면서 노후 주거지를 2만㎡ 이내 소규모로 정비하는 사업이고 자율주택정비사업은 20가구 미만의 단독·다세대주택 등을 집주인이 스스로 개량하는 사업이다. 공공참여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서울을 대상으로 추진되는데, 1차 공모에 총 22곳이 신청.. 2020. 12. 9.
와이지원 - 일본 기계 수주 지표 YoY +2.8%, MoM +17.1% 오늘 오전 일본 기계 수주 지표가 발표되었다. 전년 동월 대비해서는 2.8% 증가했고, 전월 대비해서는 17.1% 증가했다. 일본 공작 기계 업체들의 주가는 좋은 지표에 대해 반응하고 있다. 반면 와이지원은 그러지 못하고 있다. 기회일까? 2020/12/08 - [관심 기업/와이지-원] - 와이지원 - 일본 공작기계 업체와 강하게 연동된 주가 2020/12/07 - [관심 기업/와이지-원] - 와이지-원 - 10월 수출액 YoY+138% (턴어라운드의 시작) 2020/12/07 - [관심 기업/와이지-원] - 와이지원 - 매출액은 반등 추세, 재고자산은 감소추세 2020/12/02 - [관심 기업/와이지-원] - 와이지원 - 살아남은 절삭공구업체 (Solid에서 Insert로) 2020/12/02 - [.. 2020. 12. 9.
와이지원 - 일본 공작기계 업체와 강하게 연동된 주가 일본 공작기계 업체 화낙, 아마다, DMG모리와 와이지원 주가를 비교했다. 아무래도 와이지원 시총이 작기 때문에 더 날렵하게 움직여서 변동성을 훨씬 크지만, 대체로 주가 흐름이 비슷하다는 걸 알 수 있다. 위 세 업체 중 특히 DMG모리가 매출에서 공작기계 비중이 높기 때문에, 주가가 가장 비슷하게 움직인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과거 2017년 반도체 증설 호황 시기다. 당시에 반도체 장비를 만들기 위해 공작기계 판매량도 많아졌는데, 자연스럽게 와이지원의 절삭공구 매출액도 늘어났다. 순서상 공작기계가 먼저 많이 팔릴 것이니 DMG모리의 주가가 먼저 상승했고 약 2~3달 후 와이지원의 주가도 큰 폭으로 상승하기 시작했다. 즉, DMG모리의 주가 상승을 선행지표 삼아서 와이지원의 저점매수가 가능하다는 .. 2020. 12. 8.
에이치엘사이언스 - 2021년 기준 PER 7~8배 에이치엘사이언스는 대년 큰폭의 매출과 이익 성장을 달성하고있는 건기식 업체다. 2018년에는 석류농축액이 매출 성장을 이끌었고, (석류와 여성 건강기능은 대표의 전문분야) 2019년에는 유기농새싹보리착즙이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2018 년 론칭, 5 년간 원료 독점 수입) 2020년에는 다이어트 제품군이 매출 성장에 도움을 주긴 했지만, 18~19년과 같은 성장을 보이지 못하여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켜주지 못했다. 성장이 사라지자 주가는 고점의 3분의 1 수준으로 폭락했다. 주가가 다시 올라가기 위해서는 매출액이 50% 이상 성장 가능해야하고, 결국 신제품 출시가 필수적이다. 회사는 이에 부응하기 위해 리뉴얼 제품과 신제품 출시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고, 이 제품들이 연말에 대거 몰려있다. 무차입경영을 .. 2020. 12. 8.
와이지-원 - 10월 수출액 YoY+138% (턴어라운드의 시작) 10월 수출액은 1~9월 대비 크게 증가했다. 기존에는 월 100억원 수준이었다면, 이제는 200억원 수준으로 올라온 것이다. 조선, 자동차, 철강 등 전방산업이 급겨하게 턴어라운드 하고있기 때문에 절삭공구의 수요도 같이 늘어나고 있다. 올해 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매출액이 회복될 것 같다. 4분기 합산 매출액 차트를 보아도, 점점 낙폭을 축소해가는 모습이다. 재고자산, 매출채권도 점점 줄어들고 있다. 내년에는 정상 수준인 16~17년 정도로 내려올 수 있을 것 같다. 판관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던 직원 급여도 직원수 감소로 인해 개선되고 있다. 이제 발표일이 1~2도 안남았다. 투자 심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지표인 만큼 예의주시가 필요해 보인다. 와이지원은 수출액, 일본공작기계주문지수, 직원수 추이 .. 2020. 12. 7.
와이지원 - 매출액은 반등 추세, 재고자산은 감소추세 업황 예측에 실패하여 18년 부터 재고자산이 기하급수적으로 쌓였고, 관련 충당금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매우 안좋은 상태다. 반면 현금흐름은 괜찮게 유지되고 있는 상태. 그리고 3분기 부터 축소된 매출액 감소세. 4분기 부터는 급격한 턴어라운드 예상. 분기별 증가율로 보면 3분기부터 확실히 턴어라운드가 시작되었음이 파악됨. 반면 영업이익은 3분기에 역대급 적자. 그 이유는 재고자산 평가손실! 이는 빅배쓰로 보이며, 오히려 불확실성 해소로 바라볼 수 있음. 4분기 부터 굉장한 흑자가 나올 수 있을 듯. PBR은 역사적 저점 근처인 0.6배 수준. 1) 재고자산 감소추세 2) 역사적 저점 근처인 PBR 3) 반등중인 매출액 4) 4분기부터는 3분기에 시행한 재고자산 평가손실 빅배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 5) .. 2020. 12. 7.
로봇, 자동화 관련 업체에 주목 필요 (고영, 삼익THK, 제우스 등) 글로벌 로봇 시장은 연평균 10% 성장률을 기록하는 고성장 산업에 속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노동자 만명당 로봇 대수가 855대로, 전세계 최상위권에 속하기 때문에 별로 체감이 안될 수 있지만, 미국이나 유럽과 같은 지역은 아직도 만명당 로봇 대수가 100대 초반 밖에 되지 않는다. 성장할 룸이 아직 많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국내에 로봇 관련 기업이 어디가 있을까? 위 그림을 확인해 보자. ROBO ETF에 속한 상위 10개 기업 중 5개 기업이 일본 업체고, 4개는 미국 업체다. 한국은? 대표적으로 현대로보틱스, 고영, 삼익 THK, 신성이엔지, 티로보틱스, 제우스 등의 기업이 있다. 이름이 생소한걸 보면 국내 기업중에는 로봇 관련해서 내공이 확실한 업체가 없는 것 같다. 그나마 고영은 ROBO E.. 2020. 12. 7.
[주식 기초] 관계기업, 종속기업의 이익 연결은 어떻게 될까? 시총 1,000억원이 넘어가는 회사는 대부분 연결 회사가 1~2개 이상씩은 있다. 그런데 어떤 회사는 관계기업으로 연결되고 또 어떤회사는 종속기업으로 연결된다. 무슨 기준으로 나뉘는 걸까? 관계기업, 종속기업의 이익 연결 방법은 공부를 해놓아도 항상 까먹게 된다. 그래서 포스팅 하면서 다시 한 번 머리속에 넣어보기로 했다. 지분율이 20% ~ 50% 사이면 관계기업, 지분율이 50% 이상이면 종속기업으로 분류된다. 관계기업일 경우에는 지분법 이익으로 인식한다. 이익이 100억인 회사의 지분을 20% 소유하면 20억원의 이익을 모회사 계정에 인식시키는 개념인 것이다. 반면 지분율 50%가 넘는 종속기업일 경우에는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모회사 계정에 통째로 인식시킨다. 연간 순이익 1,000억짜리 기.. 2020. 12. 6.
현대기아차 - 미국서 총 42만 4천대 리콜 현대-기아차, 美서 총 42만4천대 리콜 현대기아차 양재동 사옥 앞(뉴스1 자료사진)© News1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현대차와 기아차가 미국 시장에서 총 42만4000대를 리콜한다. 6일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 도로교통안전국은 기아차 www.fnnews.com 현대차와 기아차가 미국 시장에서 총 42만4000대를 리콜한다. 6일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 도로교통안전국은 기아차에 대해 "제조상 하자가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리콜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리콜 대상은 2012∼2013 쏘렌토, 2012∼2015 포르테와 포르테 쿱, 2011∼2013 옵티마 하이브리드, 2014∼2015 쏘울, 2012 스포티지다. 리콜 대상 차량들은 엔진점검을 받은 후 필요시 교체가 이뤄지게 된.. 2020. 1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