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프랜드는 삼성전자 낸드향 프로브카드 점유율이 상당히 높다. 그래서 삼성의 중국 시안, P2 낸드 증설이 동사 실적에 매우 중요하다.
삼성의 낸드 증설 일정을 보면,
1) 19년 하반기 ~ 20년 하반기: 시안 2공장 1차 증설 (65K/월)
2) 21년 상반기 : 평택 P2 증설 (20K/월)
3) 21년 상반기 : 시안 2공장 2차 증설 시작 (30K/월)
4) 21년 하반기 ~ 22년 상반기 : 평택 P2 추가 증설 (40K/월)
5) 22년 상반기 : 시안 2공장 2차 추가 증설 시작 (30K/월)
지금 당장 마이크로프랜드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삼성의 증설은 19년 하반기 ~ 20년 상반기에 단행한 시안 2공장 1차 증설이고, 21년 상반기 실적은 21년 상반기에 진행 예정인 평택 P2, 시안 2공장 2차 증설에 영향을 받을 예정이다.
한 번 수출입 무역통계에서 수출액을 살펴보자.
20년 1분기에 수출액이 50억 수준으로 급증했고, 20년 4분기에 재차 급증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안 2공장은 20년 3월에 20K/월 규모의 양산이 시작됐고, 20년 하반기에 나머지 45/K월 규모의 양산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는데,
수출 데이터가 상반기, 하반기에 급증한 패턴이 이와 일맥상통함을 알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월별 데이터를 살펴보자.
시안 2공장이 20K/월 규모로 돌아가기 시작했던 3월, 그리고 45K/월이 돌아가기 시작했던 연말에 수출액이 Peak를 찍었다.
양산 시작하는 해당 월에 대부분의 프로브카드를 납품하는 구조임을 이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다. (45K/월에 대한 프로브카드 납품 여분은 21년 상반기 까지 이어질 가능성 높음)
즉, 매출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고객사의 증설이 가장 중요하다.
과거 매출 추이를 살펴보면, 고객사가 증설을 멈추는 순간 매출액이 큰 폭으로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부품주임에도 장비주와 비슷하게 매출액이 크게 줄어든다는 점은 조금 아쉬운 면이 있긴 하다.
두 번째로 중요한 매출 성장 요인은 낸드의 단수 증가 또는 신모델 출시다. (DDR4 -> DDR5 와 같이 대대적인 변화가 있어야 매출이 증가하는 장비주 보다는 나음)
위 그림은 삼성전자의 낸드 양산 연혁이다.
주로 낸드 단수의 증가와 함께 신모델이 출시되는 것 같다.
2013년 24단
2014년 32단
2015년 48단
2016년 64단
2017년 -
2018년 9X단
2019년 1XX단
2017년에 삼성전자의 신모델 출시 공백이 있었다.
프로브카드는 A/S 정도만 하면 되지, 거의 비소모품이 가깝기 때문에 신모델 출시로 인한 교체수요가 없으면 매출 공백이 크게 생긴다.
2017년 수출액 전무에 대한 이유를 합리적으로 추정 할 수 있다. (물론 안맞을 수도 있음)
삼성전자가 올해 7세대 V낸드를 출시한다고 한다.
2021~2022년 고객사의 엄청난 낸드 증설, 그리고 낸드 세대 교체로 인한 신제품 출시까지 붙었다.
신제품 출시 공백이 있었다면 매출 성장이 좀 아쉬웠을 텐데, 증설에 프로브카드 교체수요 까지 붙으니 큰 폭 성장이 가능할 것 같다.
마이크로프랜드는 현재 본업만으로도 충분히 매력있는 구간이며, 여기에 DRAM/소켓/비메모리가 붙는다면 매우매우 행복할 것 같다.
<네이버 블로그로 새글 알림 받기>
마이크로프랜드 - 주담 통화내용 (21.01.20), 본업의 성장만 고려해도 적극매수 구간
1) 2018년에서 2020년으로 올수록 원재료 가격은 크게 상승했는데 판매 단가는 떨어진 이유는? - 특별한 이유가 있는 건 아니다. -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프로브카드를 생산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
investment-insight.tistory.com
마이크로프랜드 - 삼성전자 NAND 투자 확대 최대 수혜주
마이크로프랜드는 2018~2019년 삼성의 NAND 투자 공백기 영향으로 거의 2년간 적자가 지속되었다. 그러다가 2020년 상반기에 삼성전자 시안 2공장의 시운전이 시작되면서 20년 1분기 부터 흑자전환에
investment-insight.tistory.com
마이크로프랜드 - 지금이 투자 적기, 2021 FWD PER 8 수준
마이크로프랜드의 주요고객사는 삼성전자다. 마이크로프랜드의 고객사 내 점유율은 (1) 디램 번인 프로브카드 85% 수준, (2) 낸드 플래시 프로브카드는 45% 수준이며, 매출 비중으로는 (1) 디램이 10
investment-insight.tistory.com
마이크로프랜드 - 핵심 모멘텀 3가지
마이크로프랜드는 낸드 노출도가 매우 큰데, 최근 글로벌리 낸드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업황이 턴하고 있기에 동사에 수혜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 모멘텀으로는 아래 3개 정도가 있다.
investment-insight.tistory.com
'반도체 > 부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프랜드 - MEMS 소켓, Logic용 프로브카드 개발직 신규채용 (+1월 수출액) (2) | 2021.02.15 |
---|---|
마이크로프랜드 - 20.4Q 실적 서프라이즈, 21년도 기대해도 좋다 (10) | 2021.02.08 |
마이크로프랜드 - 주담 통화내용 (21.01.20), 본업의 성장만 고려해도 적극매수 구간 (3) | 2021.01.20 |
마이크로프랜드 - 삼성전자 NAND 투자 확대 최대 수혜주 (0) | 2021.01.19 |
마이크로프랜드 - 지금이 투자 적기, 2021 FWD PER 8 수준 (4) | 2021.0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