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가 현실이되어 삼성전자의 QD-OLED TV는 공개되지 않았다. 최고 혁신상을 받았음에도 제품이 공개되지 않는 이례적인일까지 발생된 것이다.
그럼에도 Private 부스에서 삼성디스플레이가 QD-Display 시제품을 공개했고, 소니와 Dell이 각각 TV/모니터를 출시하였다.
CES에서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QD-Display의 몇몇 장점을 기록해보았다.
1) OLED보다 우월하고 LCD를 압도하는 시야각
일단 한눈에 보일정도로 시야각이 확연하게 차이가 났다.
LCD는 백라이트의 액정과 컬러필터를 통과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선으로 바라보면 화면이 제대로 보이지 않을 정도로 시야가 안나오는데, QD-Display는 자발광구조로써 빛이 균일하게 퍼져나가 옆으로 보아도 화면이 잘 보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부분은 타사 OLED 패널도 어느정도 가지고있는 특성이기 때문에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기 위하여 LCD와 비교한듯하다.
2) WOLED/LCD 보다 뛰어난 휘도(brigtness)와 대조도(contrast)
QD-Display는 또한 높은 휘도와 대조도(contrast)를 보유하고 있다.
밝은곳은 더 밝게, 어두운 곳은 더 어둡게 표현하여 좀 더 사실에 가까운 생생한 영상감을 느낄 수 있다.
결론
이러한 성능 차이는 LG의 WOLED와 삼성의 QD-OLED의 구조적 차이에서 기인한다.
대면적의 패널을 FMM을 이용하여 R/G/B 각각의 화소를 증착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LG전자는 FMM 없이 모든 픽셀에 동일하게 R/G/B를 stack하여 White OLED를 만드는 방법을 선택했다.
White OLED에서 나온 빛은 컬러필터층(포토레지스트과 비슷한 방법으로 증착/노광으로 만듦)에서 걸러져서 우리 눈에 들어오는데, 컬러필터는 당연히 빛을 걸러내면서 흡수를 하기 때문에 QD OLED보다 전력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LG가 선택한 WOLED는 배면발광 방식으로 전면발광 방식인 삼성의 QD-OLED 보다 발광 효율 또한 떨어진다.
즉, 전력 및 발광 효율 모든 면에서 QD-OLED보다 밀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G의 WOLED가 잘나가는 이유는, LG의 OLED TV가 실제로 봤을 때 LCD 기반 TV보다 우수한 대조도 및 선명도를 가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번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QD-OLED가 OLED, LCD대비 압도적인 성능을 보여주는 만큼, 향후 증설을 통해 가격만 합리적으로 내려온다면 삼성은 또 한번 TV 시장에서 엄청난 성과를 보여줄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네이버 블로그로 새글 알림 받기>
'디스플레이, 핸드셋'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산네오룩스 - 2022~2023년 성장성을 감안하면 매력있는 가격 (1) | 2022.01.11 |
---|---|
삼성 QD-OLED TV, CES 2022 혁신상 수상 (이번에 공개될 가능성 높음) (0) | 2022.01.04 |
삼성 QD-OLED TV, 멕시코 공장에서 생산 본격 시작 (0) | 2022.01.01 |
日 JSR, QD-OLED 핵심소재인 QD-Ink 독점 공급 (0) | 2021.09.30 |
삼성디스플레이, 11월부터 QD-OLED 패널 양산 시작 (0) | 2021.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