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스플레이, 핸드셋/소재, 부품

아나패스 - T-CON, TED 공급 이력 정리 및 투자 아이디어

by ㅤJacobㅤ 2020. 12. 20.
반응형

<T-CON>

- 2008년 부터 HD/FHD TV 및 PC 모니터, 노트북 등 삼성 대형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T-Con 공급 시작
- 2013년 UHD TV용 제품에 T-Con 공급 시작
- 2015년 Tablet에 T-Con 공급 시작

 

<TV용 T-Con 공급 이력>

- TV 패널 인터페이스인 AiPi를 도자개발해 2007년 삼성디스플레이 LCD 사업부와 독점계약 체결 완료
- 2008년 매출액 98억
- 2011년 매출액 1,008억까지 상승
- 2014년 삼성의 UHD TV용으로 공급하면서 1,340억 까지 증가 (경쟁업체대비 빠른 전송속도와 DDIC 개수 감소, 전력소모 개선등이 UHD에서 유리했기 때문)
- 다만 삼성 의존도가 높아서 2017년 부터 실적이 급함하기 시작

 

<UHD TV 패널 출하량 이력>

- 2013년 20만대
- 2014년 390만대 (아나패스 최대매출 1,340억 시현)
- 2015년 1,140만대 

 

아나패스 연도별 실적

- T-CON 공급이 시작되었던 2008년 부터 2010년까지 초기 매출액 증가율이 굉장함

- 공급량이 일정 수준으로 올라온 후로는 성장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공급 초기에 투자를 하는게 바람직

- 2014년의 경우 UHD TV향으로 공급이 시작되어 일시적으로 매출액이 상승했었음

 

아나패스 TED 장점

<TED>

- 2018년 5월 모바일용 AMOLED 패널 구동의 핵심 부품인 TED (T-CON Embedded Driver) 공급 시작 (5.95인치 WQHD)
- 2019년 UHD 해상도의 IC 칩셋 제품을 공급 시작
- 2018년 중국은 메이주15 플러스(QHD), 2019년은 소니 익스페리아1(4K). 두 모델 모두 비인기 모델이라 매출액 기여도는 크지 않았음

 

<결론>

- 과거 2008~2011년 삼성에 T-CON이 공급되기 시작하면서 큰 폭으로 증가한 매출액에 대한 기대감 때문에 회사의 시가총액은 2,000억 수준을 계속 지켜왔음

- 21년 하반기부터 삼성디스플레이를 통해 TED 제품이 중국쪽으로 공급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이며, GCT 상장이 준비되어 있어 지금부터 포트폴리오에 일정 부분 태워주면 기대이상의 수익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QD-OLED에 T-CON 또한 공급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 또한 추가 투자 포인트

 

 

 

 

아나패스 - 눈 딱 감고 그냥 사도 되는 구간

<아나패스 기업 개요> - 디스플레이 DDI 제어용 T-Con을 설계하는 Fabless 기업 - 과거 LCD 호황 시절 굉장한 성장을 보여줬으나, LCD의 몰락과 OLED의 상승 시기에 침투를 빠르게 하지 못하여 2017년부터

investment-insight.tistory.com

 

[재무시각화] 아나패스, 2021년 강력한 턴어라운드가 예정되어 있다

- 디스플레이 DDI 제어용 T-Con을 설계하는 Fabless 기업 - 과거 LCD 호황 시절 굉장한 성장을 보여줬으나, LCD의 몰락과 OLED의 상승 시기에 침투를 빠르게 하지 못하여 2017년부터 " data-og-host="investment-i..

investment-insight.tistory.com

 

아나패스 - QD-OLED 게이밍 모니터 수혜주

삼성전자가 내년 하반기 양산 예정인 삼성디스플레이의 QD-OLED를 모니터와 노트북에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그에 대한 수혜주로써 QD, OLED 소재주가 있긴 하지만, IC 업체들도 수혜를 받을 수 있다.

investment-insight.tistory.com

반응형

댓글